Skip to content
조회 수 3089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Extra Form
토론출처 http://www.chpr.org/s04_4.htm?mode=read&read_no=306
종교인 과세문제, 합리적으로 논의할 때가 되었다

글쓴이 : 관리자         조회수 : 60          등록일 : 2012/03/20

최 근 기독교계에서 ‘목회자들의 소득세 납부’에 대한 논의가 재개되었고, 이것의 영향으로 언론에서도 ‘종교인 소득세’ 문제를 자주 다루고 있으며, 지식경제부장관도 3월 19일 이 문제에 대한 것을 검토해야 된다는 발언을 하였다.

종교인 과세문제에 대해 2007년 MBC방송의 손석희 교수가 진행하는 「백분토론」에도 참여한 적이 있는 본회는 ‘건전한 논의’는 환영하되, 기독교를 공격하는 수단으로 삼아온 과거의 행태에 대해서는 언론들이 이를 바르게 인식하고 자제해줄 것을 당부드린다.

종교인 과세문제를 논할 때에 교회에 대한 비판의 강도는 가혹할 정도로 높지만, 타종교에 대한 언급은 없어 여론이 편파적으로 형성되고 있는데, 이러한 언론의 보도태도는 타종교는 소득세 납부문제에 무관한 듯 보이게 하고, 기독교에만 해당되는 듯한 태도를 취하게 되므로, 종교계 전체에 적용되고 수용되어야 할 ‘종교인 과세’ 사안의 건전한 논의과정을 오히려 저해하고 있다.

종교인 영역에 포함되는 것은 목회자만이 아니다. 한국역술인협회의 등록회원이 30만 명이고, 무속인연합회의 회원도 30만 명이 넘는다. 반면에 기독교의 목회자는 12만여 명이다. 또한 2011년 기준으로 할 때, 한국의 경제활동 인구가 2,541만 명인데, 그중에 목회자 비율은 약 0.5%에 불과하다.

또 근로자와 자영업자중 면세대상자가 839만 명과 비교할 때에도 목회자 상당수가 소득이 면세점 이하인 것을 감안하면, 징세 효율성은 매우 떨어진다고 보인다. 그러므로 “목사가 탈세를 한다”는 식으로 목회자를 매도하고 기독교 비방을 목적으로 한 부당한 여론 조성은 합리적 근거가 결여되어 있으므로 자제해야 한다는 것이다.

목회자의 80%이상은 소득수준이 면세점 이하로 추정되고 있으며, 오히려 기독교는 ‘미자립교회 지원’을 통해 국가의 복지정책에 의존하지 않고 저소득 종교인을 내부적으로 부조하는 역할을 해왔다.

한국교회는 1980년대의 경제성장기를 거치면서 사례비가 소득세 면세점을 넘는 목회자들이 생겨나면서, 기독교계에서는 1990년대 초기에 ‘종교인 납세’ 문제를 토의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미자립 교회가 절대다수인 현실에서 일부에서 소득세를 낼 경우 그들만의 ‘의’를 드러내는 행위로 미화될 소지가 있었기 때문에 실천하지 못한 측면이 있다. 즉 비현실적이라는 비판이 있어 개별 교회차원에서만 소득세 납세를 결정하여 왔다.

또 이것을 국가권력에 교회가 예속되는 것이라고 보는 측면이나, 성도의 헌금을 이중과세한다는 등 비판적으로 보는 경향도 있었다. 그런가하면 목회가 ‘소득’을 바라는 행위로 치부되는 것에 대한 거부감과, 성직자가 근로자로 매도되는 것에 대한 저항감도 존재하였다.

목회자들은 소득 이전에 자신들이 하나님의 부르심과 신탁(神託)에 의한 사명을 감당하는 일에 있어서, 인생을 던지는 삶을 살아간다는 신성함에 자부심을 느끼고 있다. 그러므로 오른손이 하는 일을 왼손이 모르게 하고, 국가에 납부하는 약간의 세금 그 이상으로 사회에 유익을 가져오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2006년에는 종교계나 정부측이 아닌 ‘종교비판자유실현시민연대(종비련)’라는 곳에서 성직자 과세를 주장하면서 거리행사와 국세청장을 고발하기도 하여, 언론의 주목을 받기도 하였다. 정치권에서도 관심을 가져 당시 고은광순 열린우리당 상임중앙위원이 TV의 백분토론 등에 출연하기도 하면서 이슈를 표면위로 끌어 올렸다.

당시 본회는 이들의 주장에 대해 방어적 입장을 취하였는데, 그 주장의 옳고 그름을 떠나, 이들의 의도가 순수하다고 볼 수 없었기 때문이다.

종비련을 설립하여 대표가 된 김상구씨는 자신이 활동해 온 반기독교시민운동연합(반기련)을 떠나면서, ‘기독교 박멸을 위한 방법론으로 행위비판이 필요하여 종비련을 설립한다’는 유명한(?) 출사표를 남겼다. 하지만 종비련은 2007년에 김상구씨가 과거 탈세 전력이 있다하여 ‘종교인 과세문제’에 부적격자이므로 제명하였었다.

이러한 사실이 공개된 이후 기독교계는 ‘종교인 과세’ 이슈 자체를 기독교 박멸세력과의 싸움이라는 인식을 굳히게 되었고, 건전한 논의마저 중단되었었다.

이후에도 인터넷에서 기독교 안티 ‘이드’로 통했던 김상구씨는 이후 종교법인법제정추진시민연대(종추련 공동대표: 홍세화, 고은광순, 박광서, 조헌정, 진관 등)와 종교권력감시시민연대(종감련)의 실제업무를 담당하며, 기독교를 비판‧공격하는 책을 출판하기도 하였다.

종교인에게는 과거부터 소득세 과세가 관행적으로 이뤄지지 않았는데, 그 연원에 대해서는 정확히 알려진 바가 없다. 실질적으로 목회자는 교인들의 헌금에 의존하여 살기 때문에 종교인의 수입을 소득이라고 부르는 것에 대한 부담감도 있었을 것이고, 소득세 납부 추진이 실효가 없다고 보았기 때문일 수도 있다.

다만 한국의 정서에서 대다수가 재정적 미자립 상태인 교회, 탁발 보시하는 풍습이 있던 불교, ‘점’을 치는 점장이, ‘굿’을 하는 무당(무속인)등을 경제인이라고 인식해 오지 않았던 것이, 종교인에 대한 과세가 관행적으로 정착되지 않았던 요인으로 풀이된다.

한편으로 소득세를 납부하는 목회자는 정부기관에서 ‘근로자나 자영업자가 아니기 때문에 산재보험이나 고용보험 등은 가입할 수 없다’는 말을 듣는다고 한다. 근로자나 자영업자라면 당연히 가입할 수 있는 4대 보험에서 ‘종교인’이라는 신분 때문에 소득세를 납부하고서도 사회보장제도에서 제외되는 차별이 존재하고 있다. 이것은 사회적 합의가 아직 덜 되었기 때문에 발생하는 현상으로, 정부와 종단들이 시간을 두고 해소해 나갈 부분이다.

기독교에서 ‘소득세 납부를 개별 목회자의 선택’에 맡기고 있듯이, 정부도 ‘소득세 납부’를 선택하는 종교인에게는 ‘4대 보험’에서 차별을 받지 않도록 제도를 정비해 나갈 필요가 있다. 차제에 가입율이 저조한 교단별 목회자 연금(복지)제도를 4대 보험으로 완전히 전환하는 것도 교단별로 논의할 가치가 있다.

납세는 국민의 의무를 통해 국가에 도움을 주는 행위이며, 국가를 위해 늘 염려하고 기도하는 성직자들이 굳이 반대할 사안이 아니다. 몇몇 대형교회를 포함해 다수의 교회는 이미 소득세를 납부하고 있다. 그러나 오래된 관습은 단기간 내에 쉽게 고쳐지지 않는 것도 현실이다. 국가의 정책도 갑자기 큰 변화를 주는 것은 무리가 따르기 때문에 10년, 20년의 장기계획을 갖고 추진해 나가듯이, 종교인 과세문제도 시간적 유예를 갖고, 사회적 갈등을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문제를 풀어 나가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서두에서 언급했다시피, 언론이 ‘종교인 과세문제’를 다룰 때에 특별히 기독교에 대한 공격적 여론을 일으키는 보도태도를 지양할 필요가 있다. 그것이 기독교뿐 아니라 다른 종단에도 ‘종교인 과세’는 단순히 기독교의 문제만이 아닌 종교인 전체 문제로 인식하고, 받아들이게끔 하는 기능을 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종교인에게 소득에 대한 것을 반드시 세금으로 부과해야 한다면, 종교인과 근로자를 동일시하여 ‘근로소득세’로 하지 말고, 성직자라는 특수성을 감안하여, 새로운 과세 과목을 만들기 바란다. 한 가지를 더 제안한다면, 종교인이 낸 세금으로 형편이 어려운 같은 종교인들을 돕도록 하는 것도 필요하다. ‘조세정의’가 ‘사회정의’와 함께 한다면, 이것도 가능하리라 본다.
?

  1. notice

    세월호를 침몰시킨 자들이 우한폐렴바이러스를 퍼트렸고, 그리고 4.15 총선을 부정선거로 완결시킬 것이다.

    우한폐렴 사태에 즈음하여 문재인이 비선실세들에 휘둘려서 정세판단을 못해서, 마스크 어쩌고 저쩌고 라고 안철수가 말 했다고 한다. 웃기는 얘기다. 안철수나 박지원이나 김진태나 조원진이나 유승민이나 그 누구든 다 이 '비선'실세의 조정을 받는 꼭...
    Date2020.02.26 Category프리메이슨(일루미나티) Views378807
    read more
  2. notice

    문재인 괴뢰정권의 우한폐렴 음모: 대구를 우한처럼-우한폐렴바이러스는 딥스테이트(프리메이슨)가 만들어 퍼트린것!

    2019-nCoV Wuhan Pneumonia infecção e proteção consciência (Portugues) from Jon Chui on Vimeo. -----> 목 차 01)유전물질의 인위적인 조작으로 인해 생겨나는 바이러스 변종들 02)중공, 2004년 이전, 북경 실험실에서 싸스-코로나바...
    Date2020.01.31 Category인종학살: 우한폐렴(코로나19)과 백신 Views382967
    read more
  3. No Image

    종교편향을 불러일으키는 국가인권위원회

    제 목 : 종교편향을 불러일으키는 국가인권위원회 글쓴이 : 관리자 조회수 : 35 등록일 : 2012/05/21 국 가인권위원회(위원장 현병철)가 지난 16일 종교자유정책연구원(공동대표 박광서, 이...
    Date2012.05.24 Category불교 Views30893
    Read More
  4. No Image

    종교편향보다 더 무서운 것은 사실 왜곡

    제 목 : 종교편향보다 더 무서운 것은 사실 왜곡글쓴이 : 관리자 조회수 : 10 등록일 : 2014/05/28 서울시 교육감 후보로 나온 고승덕 후보가 지난 20일 기독교의 모 기관을 방문한 자리에서 ‘교내 신우회 구성을 적극 지원하겠다’는 발언을 하였다 하여, 불교...
    Date2014.05.29 Category불교 Views27240
    Read More
  5. No Image

    종교자유정책연구원의 정체성은 기독교 공격의 선봉

    제 목 : 종교자유정책연구원의 정체성은 기독교 공격의 선봉 글쓴이 : 관리자 조회수 : 11 등록일 : 2012/06/15 종교자유정책연구원의 정체성은 기독교 공격의 선봉 국가인권위원회가 기독교 ...
    Date2012.06.16 Category모슬렘 Views29530
    Read More
  6. No Image

    종교인에 대한 명예훼손 법적 제재 받아

    제 목 : 종교인에 대한 명예훼손 법적 제재 받아글쓴이 : 관리자 조회수 : 313 등록일 : 2014/04/08 종교인에 대한 인터넷 상에서의 ‘명예훼손’에 대하여 법원은 피의자들에게 그 책임을 묻는 유죄판결을 연속 내리고 있다. 4월 7일 서울남부지방법원 형사10단...
    Date2014.04.25 Category기타 Views25939
    Read More
  7. No Image

    종교인 과세문제, 합리적으로 논의할 때가 되었다

    종교인 과세문제, 합리적으로 논의할 때가 되었다 글쓴이 : 관리자 조회수 : 60 등록일 : 2012/03/20 최 근 기독교계에서 ‘목회자들의 소득세 납부’에 대한 논의가 재개되었고, 이것의 영향...
    Date2012.03.24 Category모슬렘 Views30891
    Read More
  8. No Image

    종교의 자유를 짓밟고, 법치주의를 파괴하는 정권과 국회, 과연 대한민국에 필요한가

    제 목 : 종교의 자유를 짓밟고, 법치주의를 파괴하는 정권과 국회, 과연 대한민국에 필요한가글쓴이 : 관리자 조회수 : 211 등록일 : 2014/06/24문창극 국무총리 후보자가 24일 ‘자진 사퇴’를 선택했다. 그의 의견을 존중한다. 그러나 그의 물러남은 언론의 범...
    Date2014.06.24 Category불교 Views25454
    Read More
  9. No Image

    종교와 정치의 그 위험한 관계

    제 목 : 종교와 정치의 그 위험한 관계글쓴이 : 관리자 조회수 : 17 등록일 : 2013/11/26 지난 22일 군산에서는 천주교정의구현사제단(이하 정구사)이 전주교구 주도로 ‘시국 미사’를 열었다. 이 자리에서 박 모 신부는 북한의 연평도 포격 도발사건을 옹호하...
    Date2013.11.26 Category북한 Views23535
    Read More
  10. No Image

    조용한 살인자 '종빨'의 거대한 음모

    조용한 살인자 '종빨'의 거대한 음모 인터넷, 스마트폰에서부터 ‘종빨’과의 전쟁에서 승리하자! ...
    Date2012.06.26 Category북한 Views30771
    Read More
  11. No Image

    조계종 도박사건, 총무원장 책임지고 용퇴해야

    조계종 도박사건, 총무원장 책임지고 용퇴 거듭 태어나는 모습 국민에게 보여주어야 이법철 스님 기자 (.bubchul@hotmail.com) 2012.05.11 17:34:24 글자크기 조정 ...
    Date2012.05.12 Category불교 Views31285
    Read More
  12. No Image

    제주도 3층구조 가마오름 땅굴 13.2Km 중 공개된 2Km(평화박물관)

    ------> 4년 전에 어떤 단체에 소속되어 제주도에 간 적이 있었는데, 그 때 나는 평화박물관 내(內) 가마오름 일본군 땅굴진지(1930~45년에 구축됐다고함)에 들어 간 적이 있다. 위 영상은 바로 그 때 촬영한 것이다. 가마오름 이 지하요새에 대한 평화...
    Date2015.09.18 Category땅굴 Views23822
    Read More
  13. No Image

    정부의 종교계 지원에 대한 불교계 발표와 관련하여

    제 목 : 정부의 종교계 지원에 대한 불교계 발표와 관련하여글쓴이 : 관리자 조회수 : 56 등록일 : 2013/04/05정부의 종교계 지원에 대한 불교계 발표와 관련하여 불교계가 지난 3일 <정부지원 종교지원 예산분석> 발표를 하였다. 이를 발표한 단체는 불교미래...
    Date2013.04.13 Category불교 Views29475
    Read More
  14. No Image

    정부의 5년간 각 종교별 지원 76.6%가 불교 지원

    제 목 : 정부의 5년간 각 종교별 지원 76.6%가 불교 지원 글쓴이 : 관리자 조회수 : 91 등록일 : 2011/06/10 정부의 5년간 각 종교별 지원 76.6%가 불교 지원 ‘종교편향’의 시비가 발생하지 않도록 해야 정부가 지난 5년간 각 종교별로 국가 재정에서 지원한 ...
    Date2011.06.17 Category종교차별 Views31214
    Read More
  15. No Image

    정부.지자체의 종교행사 지원 이대로 좋은가?

    제 목 : 정부.지자체의 종교행사 지원 이대로 좋은가?글쓴이 : 관리자 조회수 : 45 등록일 : 2013/05/034년간, 불교 371억원, 유교 331억원, 천주교 89억원, 기독교 65억원 정부(문광부)와 지자체(서울시)의 각 종교별 행사에 대한 지원 현황이 밝혀졌다. 한 ...
    Date2013.05.08 Category종교차별 Views25998
    Read More
  16. No Image

    전국 땅꺼짐 사진과 땅굴로인한 땅꺼짐 사진 비교분석

    2015년9월7일 KBS1 취재파일 K 취재팀 보도 영상 메인에 사용된 싱크홀(지반침하, 땅꺼짐)↑ 땅굴(터널)때문에 생겨난 싱크홀 사진↑ 지난, 2015.09.07 (19:55) 최종 수정되어 게시된 KBS1 취재파일K 기획 뉴스, " ‘땅꺼짐 위험 지역’…전국 144곳 공개 "에 따...
    Date2015.09.25 Category땅굴 Views23186
    Read More
  17. No Image

    자국선 정치단체, 서방엔 눈엣가시

    http://osen.mt.co.kr/news/view.html?mCode=&gid=G1105170351자국선 정치단체, 서방엔 눈엣가시 스크랩 : 트위터페이스북미투데이네이트로 스크랩하기요즘공감|입력 : 2011.05.17 17:19|조회 : 314 - 빈 라덴 사후 주목받는 테러단체 [이브닝신문/OSEN=오현주...
    Date2011.06.14 Category모슬렘 Views32296
    Read More
  18. No Image

    일부 한국 기독교인들의 범죄_잔인한 자를 동정하고 동정받아야 할 사람들에게 잔인하다.

    일부 한국 기독교인들의 범죄 잔인한 자를 동정하고 동정받아야 할 사람들에게 잔인하다. 趙甲濟 “하나님의 나라는 먹는 것과 마시는 것이 아니다.” 먼저 마태복음 6장33절을 읽겠습니다. <너희는 먼저 그의 나라와 그의 義를 구하라. 그리하면 이 모든 것을 ...
    Date2011.07.21 Category북한 Views31431
    Read More
  19. No Image

    일본 불교가 가져온 연등행사를 무형문화재로 지정한다는 문광부장관

    일본 불교가 가져온 연등행사를 무형문화재로 지정한다는 문광부장관 ← 일본의 연등행사 글쓴이 : 박미자 조회 : 31 최광식 문광부장관은 2월 21일 불교방송에 출연하여 “연등행사는 불교계 행사를 넘어서 전통 대중축제라는 점...
    Date2012.02.27 Category불교 Views30461
    Read More
  20. No Image

    인권위원회 혼돈의 5가지 요인

    인권위원회 혼돈의 5가지 요인/ 안희환 국가인권위원회는 막강한 권한을 가지고 있는 국가 기관입니다. 인권위원회 상임위원 한 사람이 차관급이고 위원장은 장관급의 대우를 받고 있으니 말입니다. 그런 구조만으로도 인권위는 대단한 위용을 갖추고 있다고 ...
    Date2010.11.11 Category기타 Views36907
    Read More
  21. No Image

    인권위 군대내 동성애 처벌조항폐지 의견서 제출 직전(펌)

    (완전긴급) 국가인권위원 11명의 위원들이 군대내 동성애 처벌조항(92조) 폐지하라는 의견서를 헌법재판소에 제출 직전입니다. 매우 중요한 사항을 여러분에게 나누고자 합니다. 잘 주목하셔서 이 나라 주의 나라 되도록 달려 나가 주시길 간절히 부탁드립니다...
    Date2010.10.28 Category기타 Views32300
    Read More
  22. No Image

    이집트 시나이반도 테러 사건에 대한 긴급성명서(예장통합)

    이집트 시나이반도 테러 사건에 대한 긴 급 성 명 서 우리 대한예수교장로회 총회는 어제 2월 16일 오후 9시 20분경(한국시각)에 이집트 시나이 반도의 시내산과 세인트 캐서린 수도원에서 성지순례를 마친 뒤 타바에서 버스가 폭탄테러를 당하여 한국인...
    Date2014.02.19 Category모슬렘 Views27380
    Read More
Board Pagination ‹ Prev 1 2 3 4 5 6 7 8 Next ›
/ 8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by webmaster@chripol.net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